본문 바로가기

시의 마을71

서안나 시인 시 "모과" 서안나 시인 시 "모과" 서안나 시인의 시 "모과" 먹지는 못하고 바라만 보다가 바라만 보며 향기만 맡다 충치처럼 꺼멓게 썩어버리는 그런 첫사랑이 내게도 있었지 모과, 그리운 첫사랑의 향기 서안나 시인의 시 "모과"는 첫사랑에 대한 그리움과 아픔을 담은 시로, 그의 시집에서 가장 유명한 시 중 하나입니다. 이 시는 먹지 못하고 오직 바라만 보고 향기만 맡으며 썩어가는 모과를 통해 첫사랑의 아픔을 표현합니다. 서안나 시인의 이 시 "모과"는 달콤하고 독특한 향기를 통해 첫사랑의 아픔을 표현한다. 이 시는 먹지도 못하고, 바라만 보며 향기만 맡다가 썩어버리는 첫사랑을 상징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첫사랑은 종종 그 속에 달콤한 기억이 담겨있지만, 때로는 쓰라린 아픔으로 기억된다. 그런 모순된 감정을 서안나 시인.. 2024. 3. 21.
정지용 시인 프로필, 향수(鄕愁) 정지용 시인 프로필 정지용 시인은 한국 현대문학의 초석을 다진 중요한 인물 중 하나입니다. 그의 작품들은 순수와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어려운 시대 상황 속에서도 인간의 내면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섬세하게 표현했습니다. 이제 그의 생애와 문학세계를 좀 더 깊이 있게 탐구해 보겠습니다. 먼저 정지용 시인의 향수(鄕愁)부터 감상하겠습니다. 정지용 ‘향수’ ​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해질 무렵)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뷔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벼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 2024. 3. 19.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백석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백석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백석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 밤은 푹푹 눈이 내린다 나타샤를 사랑하고 눈은 푹푹 날리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어 소주를 마신다 소주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 타고 산골로 가자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자 눈은 푹푹 나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 올 리 없다 언제 벌써 내 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눈은 푹푹 나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 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을 것이다 작품 개요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는 한국의 대표적인 시인 백석(19.. 2024. 3. 15.
3월14일, 나태주 시인 "바로말해요" 시간의쉼표 중에서 3월 14일, 나태주 시인 "바로말해요" 시간의쉼표 중에서 바로 말해요 (나태주) 바로 말해요 망설이지 말아요 내일 아침이 아니에요 지금이에요 바로 말해요 시간이 없어요 사랑 한다고 말해요 좋았다고 말해요 보고 싶었다고 말해요 해가 지려고 해요 꽃이지려고 해요 바람이 불고 있어요 새가 울고 있어요 지금이에요 눈치 보지 말아요 사랑 한다고 말해요 좋았다고 말해요 그리웠다고 말해요 참지 말아요 우물쭈물 말아요 내일 에는 꽃이 없어요 지금이에요 사랑 한다고 말해요 좋았다고 말해요 당신이 오늘은 꽃이에요 나태주 시인의 "바로 말해요"는 삶과 사랑의 소중함을 담담하면서도 강렬하게 전달하는 시입니다. 나태주 시인은 1945년 충청남도 홍성에서 태어나, 섬세하고 따뜻한 시어로 많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왔습니다. ".. 2024. 3. 14.
나태주, 시간의 쉼표 - 3월 13일 "어쩌면 나의 노래를 실은 종이배..." 3월 13일: 당신의 하늘에서도 어쩌면 나의 노래를 실은 종이배 당신의 하늘에서도 보일지 모르니까요 당신의 별빛 속에서도 내 노래 소리 들릴지 모르니까요 3월 13일의 시구는 "어쩌면 나의 노래를 실은 종이배, 당신의 하늘에서도 보일지 모르니까요, 당신의 별빛 속에서도, 내 노래 소리 들릴지 모르니까요"로, 사뭇 감성적이고 서정적인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이는 먼 곳에 있는 사람에게도 자신의 마음이 닿기를 바라는 시인의 간절한 마음을 담고 있으며, 독자들에게도 잠시나마 마음의 여유와 휴식을 선사합니다. 나태주, 시간의 쉼표 - 365일의 따뜻한 위로 시인 나태주는 현대 한국 문학에서 가장 따뜻한 감성을 전달하는 인물 중 하나로, 그의 작품은 일상 속 작은 것들에 대한 섬세한 관찰과 깊은 애정을 담고 있습니.. 2024. 3. 13.
이해인 봄 시 모음 봄이 오면 나는봄의 연가봄 햇살 속으로봄 편지봄 일기풀물 든 가슴으로봄 아침봄날 아침 식사봄과 같은 사람행복을 향해 가는 문개나리봄까치꽃 이해인 봄 시 모음 이해인 수녀님의 시는 자연과의 조화와 인간의 내면 성장을 담은 깊은 감성의 작품입니다. 봄의 따스한 기운과 생명의 에너지를 통해 우리에게 희망과 기쁨을 전달합니다. 그녀의 시는 단순한 자연의 풍경을 넘어서 우리의 마음을 다양한 감정으로 가득 채우며, 삶의 아름다움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합니다. 봄이 오면 나는 작년... 재작년... 봄이 왔을 때 나는 설렜는데... 서무 너로 인해서... 올해 봄이 오면 나는 너무도 슬플 듯 하네, 이해인 수녀님의 시를 알게 해 준 넌데... 이해인 수녀님의 시만 남고 서무 넌 없구나... 봄이 오면 나는 / 이해인 수녀님 作 봄이 오면 나는 활짝 피어나기 전에 조금씩 고운 기침을 하는 꽃나무들 옆에서 덩달아 봄앓이를 하고 싶다 살아 있음의 향기를 온몸.. 2024. 2. 29.
김미경 시인의 "사랑을 알면 그리움이 보여" 사랑을 알면 그리움이 보여/김미경 내 손에 닿지 않는 목소리를 듣길 원했고 내 귀에 들리지 않는 사랑을 바래 닫아 버린 마음 때문에 하나씩 지워내는 그리움마저도 잊혀간다는 것이 너무 슬프다 혼자 삼켜 버린 시간 앞에 세상에서 가장 슬픈 일마저도 알고도 모른 채 등을 돌렸던 날 불러도 대답 없는 이름이 되어 가슴 속 메아리만 가득 차올랐다 보고 싶은 사람을 만날 수 없다는 것 가슴에서 비워 내는 일이 많아질수록 켜켜이 쌓여가는 세월의 무게 탓만 아닐 거야 사랑을 알면 그리움도 보인다는 것을 당신을 보내고서야 알았다. 김미경 시인의 "사랑을 알면 그리움이 보여" 분석 김미경 시인의 "사랑을 알면 그리움이 보여"는 사랑과 이별, 그리고 그리움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한 작품입니다. 이 시는 사랑하는 이를 잃고 .. 2024. 2. 19.
광대나물 꽃 봄 시 모음, 김옥순 문효치 김승기 시인, 김창진 전 가톨릭대 교수 광대나물 꽃 봄 시 모음, 김옥순 문효치 김승기 시인, 김창진 전 가톨릭대 교수 요란한 아름다움, 광대나물의 세계 광대나물 시인들이 시를 통해 그린 광대나물의 세계는 우리에게 다채로운 감정과 생각을 안겨줍니다. 각 시인은 자신만의 시각으로 이 신비로운 식물을 바라보며 자유롭고 다채로운 상상력을 발휘했습니다. 광대나물 꽃말은 "봄맞이입니다." 봄을 맞이하는 봄 시 모음으로 광대나물 꽃 시를 몇 편 모아봤습니다. 광대나물 꽃·김옥순 시인 광대나물광대나물 꽃 요란하기로 틀림없는 광대다 모양은 모양 다 걸고 목을 저렇게 빼고 입을 헤 벌려 혓바닥이 빠진듯한 형상이 영락없이 여름날 혀 빠진 개 볼수록 괴상한 형상이다 그래서 이름을 광대나물이라 했겠다 김옥순 시인은 광대나물을 통해 우리에게 미적 감각을 일깨워줍니다.. 2024. 2. 11.
매화 시 모음, 매화 앞에서 / 이해인, 홍매화 / 도종환, 매화송(梅花頌) / 조지훈, 매화 사랑 / 김남조, 섬진강 매화꽃을 보셨는지요 / 김용택, 매화꽃 / 천상병 매화꽃 시 모음 / 매화 시모음 매화, 봄의 전령사이자 고고한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꽃입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 문학에서 매화를 주제로 한 시들을 모아 소개합니다. 조지훈, 김남조, 이해인, 김용택, 도종환, 박노해, 정호승, 신경림, 천상병 등 여러 시인들이 매화의 아름다움, 그리움, 고독, 그리고 삶의 교훈을 담아낸 작품들을 창조해냈습니다. 매화송(梅花頌) 조지훈 조지훈 시인의 "매화송"은 매화꽃이 진 밤의 고요함과 아름다움을 그리며, 그리움과 외로움을 아련하게 표현합니다. 매화꽃 아래에서의 사색은 깊은 정서적 여운을 남깁니다. 매화송(梅花頌) / 조지훈 매화꽃 다 진 밤에 호젓이 달이 밝다 구부러진 가지 하나 영창에 비치나니 아리따운 사람을 멀리 보내고 빈 방에 내 홀로 눈을 감아라 비단옷 감기듯이 .. 2024. 2. 8.
반응형